Skip to content

[KO] Translate 2018-11-06-ruby-2-6-0-preview3-released.md #1872

New issue

Have a question about this project? Sign up for a free GitHub account to open an issue and contact its maintainers and the community.

By clicking “Sign up for GitHub”, you agree to our terms of service and privacy statement. We’ll occasionally send you account related emails.

Already on GitHub? Sign in to your account

Merged
merged 5 commits into from
Nov 8, 2018
Merged
Changes from all commits
Commits
File filter

Filter by extension

Filter by extension

Conversations
Failed to load comments.
Loading
Jump to
Jump to file
Failed to load files.
Loading
Diff view
Diff view
134 changes: 134 additions & 0 deletions ko/news/_posts/2018-11-06-ruby-2-6-0-preview3-released.md
Original file line number Diff line number Diff line change
@@ -0,0 +1,134 @@
---
layout: news_post
title: "루비 2.6.0-preview3 릴리스"
author: "naruse"
translator: "shia"
date: 2018-11-06 00:00:00 +0000
lang: ko
---

루비 2.6.0-preview3 릴리스를 알리게 되어 기쁩니다.

루비 2.6.0-preview3은 루비 2.6.0의 세 번째 프리뷰입니다.
이 프리뷰는 다가오는 릴리스 후보에 포함될 기능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릴리스되었습니다.

## JIT

루비 2.6은 JIT(Just-in-time) 컴파일러의 첫 구현체를 포함합니다.

JIT 컴파일러는 루비 프로그램의 실행 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다른 언어의 일반적인 JIT 컴파일러와는 다르게, 루비의 JIT 컴파일러는 C 코드를 디스크에 출력한 뒤, 일반적인 C 컴파일러 프로세스를 사용해 네이티브 코드를 생성하도록 합니다.
다음을 참고하세요. [Vladimir Makarov가 작성한 MJIT 구조](https://github.com/vnmakarov/ruby/tree/rtl_mjit_branch#mjit-organization).

JIT 컴파일을 사용하려면 `--jit` 옵션을 커맨드라인이나 `$RUBYOPT` 환경 변수에 지정합니다.
`--jit-verbose=1`을 지정하면 실행 중인 JIT 컴파일의 기본적인 정보를 출력합니다. 다른 옵션에 대해서는 `ruby --help`를 확인하세요.

이번 JIT 릴리스의 주 목적은 2.6 릴리스 전에 각 플랫폼에서 잘 동작하는지,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하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입니다.
현재 JIT 컴파일러는 루비가 gcc나 clang, Microsoft VC++로 빌드되었으며, 해당 컴파일러가 런타임에서 사용 가능한 경우에만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그 이외에는 아직 이용할 수 없습니다.

2.6.0-preview3에서는 Optcarrot이라는 CPU 성능을 요구하는 벤치마크에서 1.7배의 성능 향상을 이루었습니다(다음을 참조: https://gist.github.com/k0kubun/d7f54d96f8e501bbbc78b927640f4208). Rails 애플리케이션 같은 메모리를 요구하는 작업에서도 성능을 향상시킬 것입니다.

새로운 루비의 성능을 기대해주세요.

## RubyVM::AST [Experimental]

루비 2.6에는 `RubyVM::AST` 모듈이 도입되었습니다.

이 모듈에은 문자열을 파싱하여 AST(추상구문트리)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 메서드, 파일을 파싱하여 AST의 노드를 돌려주는 `parse_file` 메서드가 들어있습니다.
`RubyVM::AST::Node`도 도입되었습니다. 이 클래스의 인스턴스로부터 위치정보나 자식 노드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기능은 실험적으로 포함되었으며, AST 노드의 구조는 호환성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 새로운 기능

* `Kernel#yield_self`의 별칭으로 `then`이 추가되었습니다. [[Feature #14594]](https://bugs.ruby-lang.org/issues/14594)

* `rescue`가 없는 `else`가 문법 에러가 됩니다. [EXPERIMENTAL]

* ASCII 이외의 대문자로 시작하는 상수를 정의할 수 있게 됩니다. [[Feature #13770]](https://bugs.ruby-lang.org/issues/13770)

* 종료 지정이 없는 범위 연산자. [[Feature #12912]](https://bugs.ruby-lang.org/issues/12912)

종료 지정이 없는 범위 연산자, `(1..)`가 추가됩니다. 이는 끝이 없는 것처럼 취급됩니다. 다음은 전형적인 사용 예시입니다.

ary[1..] # ary[1..-1]와 동치
(1..).each {|index| ... } # 1로 시작하는 무한 루프
ary.zip(1..) {|elem, index| ... } # ary.each.with_index(1) { ... }

* `Binding#source_location`을 추가했습니다. [[Feature #142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30)

이 메서드는 `binding`의 소스 코드 상의 위치를 `__FILE__`과 `__LINE__`을 가지는 배열로 돌려줍니다. `Kernel#eval`이 `binding`의 소스 코드의 위치를 무시하도록 변경할 예정입니다. [[Bug #4352]](https://bugs.ruby-lang.org/issues/4352) 그러므로 지금까지 사용하던 `eval("[__FILE__, __LINE__]", binding)`로 같은 정보를 획득할 수 없게 됩니다, 앞으로는 `Kernel#eval`보다는 새로운 `Binding#source_location` 메서드를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 `Kernal#system`이 실패했을 경우 `false`를 돌려주는 대신, 에러를 던지도록 하는 `:exception` 옵션을 추가했습니다. [[Feature #14386]](https://bugs.ruby-lang.org/issues/14386)

## 성능 향상

* `Proc#call`이 더 이상 `$SAFE`를 고려하지 않아도 되어 속도가 빨라졌습니다.
[[Feature #14318]](https://bugs.ruby-lang.org/issues/14318)

`Proc#call`을 대량으로 호출하는 `lc_fizzbuzz` 벤치마크가 1.4배 빨라졌습니다.
[[Bug #10212]](https://bugs.ruby-lang.org/issues/10212)

* `block`이 블록 파라미터인 경우의 `block.call`이 빨라졌습니다. [[Feature #14330]](https://bugs.ruby-lang.org/issues/14330)

루비 2.5에서는 블록 넘기기의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만 [[Feature #14045]](https://bugs.ruby-lang.org/issues/14045),
추가로 2.6에서는 넘겨진 블록의 호출이 개선되었습니다.
간단한 벤치마크에서 2.6배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 Transient Heap(theap)이 도입되었습니다. [Bug #14858] [Feature #14989]
theap은 특정 클래스(Array, Hash, Object, Struct)가 가리키는 짧은 생애를
가지는 메모리 객체들을 관리합니다. 예를 들어 작고 짧게 생존하는 Hash 객체는
2배 빨라집니다. rdoc 벤치마크에서 6-7%의 성능 향상을 확인했습니다.

* `Coverage`의 oneshot_lines 모드를 추가했습니다. [Feature#15022]
* 이 모드는 '각 줄이 몇 번 실행되었는지' 대신 '각 줄이 한 번 이상 실행되었는지'를 확인합니다. 각 줄의 훅은 최대 1회만 실행되며, 실행된 후에는 플래그를 제거하기 때문에 오버헤드 없이 실행됩니다.
* `Coverage.start`에 `:oneshot_lines`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 `Coverage.result`에 `:stop`과 `:clear` 키워드 인수가 추가됩니다. 만약 `clear`가 참이라면, 이는 카운터를 0으로 초기화합니다. 만약 `stop`이 참이라면 커버리지 측정을 비활성화합니다.
* 주어진 소스 코드로부터 'stub'을 생성하는 간단한 헬퍼 함수인 `Coverage.line_stub`을 추가합니다.

## 2.5 이후 주목할 만한 변경

* `$SAFE`가 프로세스 전역 변수로 취급되며, `0` 이외의 값을 설정한 후에 `0`으로 되돌리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Feature #14250]](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0)

* `ERB.new`에 `safe_level`을 넘기는 기능이 제거될 예정입니다. 또한 `trim_mode`와 `eoutvar`는 키워드 변수로 변경됩니다. [[Feature #14256]](https://bugs.ruby-lang.org/issues/14256)

* RubyGems 3.0.0.beta2를 병합했습니다. `--ri`와 `--rdoc` 옵션이 제거되었습니다. 대신에 `--document`와 `--no-document`를 사용해주세요.

* [Bundler](https://github.com/bundler/bundler)를 기본 젬으로 병합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뉴스](https://github.com/ruby/ruby/blob/v2_6_0_preview3/NEWS)와
[커밋 로그](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preview3)를 참고하세요.

이러한 변경사항에 따라,
루비 2.5.0 이후 [파일 6474개 수정, 171888줄 추가(+), 46617줄 삭제(-)](https://github.com/ruby/ruby/compare/v2_5_0...v2_6_0_preview3)
하였습니다!

루비 2.6.0-preview3와 함께 즐거운 프로그래밍하세요!

## 다운로드

* <https://cache.ruby-lang.org/pub/ruby/2.6/ruby-2.6.0-preview3.tar.gz>

SIZE: 17071670 bytes
SHA1: 67836fda11fa91e0b988a6cc07989fbceda025b4
SHA256: 60243e3bd9661e37675009ab66ba63beacf5dec748885b9b93916909f965f27a
SHA512: 877278cd6e9b947f5bb6ed78136efb232dcc9c5c218b7236576171e7c3cd7f6b7d10d07d8402014a14aba1fcd1913a4370f0725c561ead41d8a3fe92029f7f76

* <https://cache.ruby-lang.org/pub/ruby/2.6/ruby-2.6.0-preview3.zip>

SIZE: 21537655 bytes
SHA1: 45f3c90dfffe03b746f21f24152666e361cbb41a
SHA256: 9152af9e700349dcfa2eec196dd91587d42d70a6837fa2c415ebba1167587be1
SHA512: 335de36cf56706326f4acc4bbd35be01e0ac5fff30d0a69b2e1630ba4c78f0e711822d1623d0099a517c824b154917d2f60be192dfb143a422cf1d17b38e1183

* <https://cache.ruby-lang.org/pub/ruby/2.6/ruby-2.6.0-preview3.tar.bz2>

SIZE: 14973451 bytes
SHA1: 5f2df5d8c5a3888ccb915d36a3532ba32cda8791
SHA256: 1f09a2ac1ab26721923cbf4b9302a66d36bb302dc45e72112b41d6fccc5b5931
SHA512: d1693625723796e8902f3e4c4fae444f2912af9173489f7cf18c99db2a217afc971b082fce7089e39f8edd54d762d2b4e72843c8306ed29b05ccb15ac03dbb5b

* <https://cache.ruby-lang.org/pub/ruby/2.6/ruby-2.6.0-preview3.tar.xz>

SIZE: 12291692 bytes
SHA1: 7f8216247745215e9645568e7a02140f9a029b31
SHA256: 9856d9e0e32df9e5cdf01928eec363d037f1a76dab2abbf828170647beaf64fe
SHA512: b4d3b17ecf96272c43cd7518c0b54dee63fc1150ad143e1d9c9d708506fe78676c80eb96cc47b8d46d1128bd483a53f16c944963a03d1f99f00131b74714df7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