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이런 경우에도 머신러닝을 사용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1052

@ji0eeeee

Description

@ji0eeeee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

안녕하세요.
현재 건축학과에 재학중인 학생입니다.

머신러닝 관련해서 독학으로 공부를 하고 있는 단계라 지식이 깊지 않은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제가 문의드리고자 하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말로 설명드리는게 어려워 그림을 준비하였습니다.

image

다음과 같이 행동에 따른 건축환경을 추천하는 데이터와 (1)

날씨에 따른 건축환경을 추천하는 데이터 (2) 그리고 피로도에 따른 건축환경을 추천하는 데이터 (3) 등등이 존재한다고 가정하였을때

image

행동, 날씨, 피로도, 나이.. 등을 모두 고려하여 건축환경을 새롭게 추천하고자 합니다. (여기서 건축환경은 빛의 밝기로 크고 작은 수치로 표현이 가능합니다.)

즉, 낮잠이라는 행동을 할 경우 C라는 건축환경을 추천하고 날씨가 맑음일 경우 D라는 건축환경을 추천하고 피로도가 상인경우 A라는 건축환경을 추천하는데, 이를 모두 고려하였을때는 어떤 건축환경이 좋은지 현재로선 알지 못합니다.

이때 머신러닝을 사용하면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시도해본 방법

현재 행동,날씨,피로도를 모두 고려하여 임의로 건축환경을 추천한 데이터를 작성하여 그 데이터를 가지고 train과 test set으로 나눠 knn, svm 알고리즘에 넣어보았습니다.
그러나 이런 데이터는 행동,날씨,피로도에 따른 빛의 밝기를 제가 임의로 지정한것이기 때문에 제가 지정한 빛의 밝기가 정답이라고 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행동에 따른 건축환경, 날씨에 따른 건축환경에 대한 데이터는 가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그래서 데이터를 종합해서 건축환경이 나오도록 하고싶은데, 어떤 방법을 써야 되는건지 잘 모르겠어 질문 드립니다..!!

선행 연구를 찾아봤을때도 input 데이터 여러개에 따른 하나의 output데이터를 추출할때, 이미 ipnut에 따른 output을 알고 있는 상황에서 새로운 input을 넣었을때 그 규칙에 따라 추천해주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고 bayesian approach를 사용할 경우에도 사전지식을 활용하여 사건에 대한 확률을 추정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 경우도 기존에 행동, 날씨, 피로도를 모두 고려한 건축환경 데이터가 존재해야 사용할 수 있는것 아닌가요? .. ! 그래서 제가 생각하는것이 현실적으로 실현이 가능한건지 궁금합니다..!

혹시 가능하다면 방향성만이라도 알려주시면 제가 찾아보고 공부하겠습니다..!!

답변 정말 정말 감사합니다...

Metadata

Metadata

Assignees

No one assigned

    Labels

    No labels
    No labels

    Type

    No type

    Projects

    No projects

    Relationships

    None yet

    Development

    No branches or pull requests

    Issue actions